개인공부/CS 공부

네이트브 앱 vs 크로스 플랫폼 vs 웹앱 vs 하이브리드 앱 vs PWA

소소한필통 2022. 11. 30. 17:14

네이티브 앱

정의 : 기기에 작동하는 운영체제에 특화된 방식으로 제작된 앱

예시 : 안드로이드 -> 코틀린, ios -> 스위프트

장점

  • 각각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앱을 만들 수 있다.

단점

  • 각 환경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해 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
  • 새버전 출시될 때 각 스토어 심사를 거쳐야함

크로스 플랫폼

정의 : 하나의 소스 코드로 여러 개의 운영체제에서 작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식

예시 : 플러터(구글), 리액트 네이티브(페이스북), 닷넷마우이(마이크로소프트)

장점

  • 안드로이드, IOS버전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앱을 만들 수 있음

단점

  • 네이티브 앱에 비해서 성능이 떨어짐
  • 주요 기능 업데이트할 때마다 양쪽 앱 마켓 심사를 거쳐야함

웹앱

정의 : 모바일 기기의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웹사이트로, 모바일과 비슷한 UI/UX를 제공

예시 : 반응형, 적응형 웹사이트

장점

  • 앱 마켓의 심사과정을 안거쳐도 됨
  • 플랫폼 제작 비용도 저렴하고 개발 기간도 짧은 편이다.

단점

  • 브라우저로 할 수 잇는 기능으로 한정
  • 기기 활용도와 성능면에서 떨어짐

하이브리드앱

정의 : 네이티브 앱 안에 웹 뷰로 웹사이트를 실행해서 네이티브 앱과 웹앱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앱

예시 : 다음앱

장점

  • 네이티브 앱과 웹앱의 장단점을 활용해서 제품을 유연하게 운영 가능
  • 앱 기능을 업데이트할 때를 제외하고 앱 마켓의 심사 없이 언제든지 앱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음.
  • 앱의 특성에 따라 네이티브로 제작할 부분과 웹 뷰로 제공할 부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

PWA

정의 : 아이콘 추가 등 진보된 브라우저 기능을 활용해서 네이티브 앱 같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앱

장점

  • 웹사이트에 간단한 작업을 더해 PWA로 만들 수 있다. 앱의 기능을 넣을 수 있다.

단점

  • 아이폰의 경우 사파리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의 PWA 기능이 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