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티브 앱
정의 : 기기에 작동하는 운영체제에 특화된 방식으로 제작된 앱
예시 : 안드로이드 -> 코틀린, ios -> 스위프트
장점
- 각각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앱을 만들 수 있다.
단점
- 각 환경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해 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
- 새버전 출시될 때 각 스토어 심사를 거쳐야함
크로스 플랫폼
정의 : 하나의 소스 코드로 여러 개의 운영체제에서 작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식
예시 : 플러터(구글), 리액트 네이티브(페이스북), 닷넷마우이(마이크로소프트)
장점
- 안드로이드, IOS버전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앱을 만들 수 있음
단점
- 네이티브 앱에 비해서 성능이 떨어짐
- 주요 기능 업데이트할 때마다 양쪽 앱 마켓 심사를 거쳐야함
웹앱
정의 : 모바일 기기의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웹사이트로, 모바일과 비슷한 UI/UX를 제공
예시 : 반응형, 적응형 웹사이트
장점
- 앱 마켓의 심사과정을 안거쳐도 됨
- 플랫폼 제작 비용도 저렴하고 개발 기간도 짧은 편이다.
단점
- 브라우저로 할 수 잇는 기능으로 한정
- 기기 활용도와 성능면에서 떨어짐
하이브리드앱
정의 : 네이티브 앱 안에 웹 뷰로 웹사이트를 실행해서 네이티브 앱과 웹앱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앱
예시 : 다음앱
장점
- 네이티브 앱과 웹앱의 장단점을 활용해서 제품을 유연하게 운영 가능
- 앱 기능을 업데이트할 때를 제외하고 앱 마켓의 심사 없이 언제든지 앱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음.
- 앱의 특성에 따라 네이티브로 제작할 부분과 웹 뷰로 제공할 부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
PWA
정의 : 아이콘 추가 등 진보된 브라우저 기능을 활용해서 네이티브 앱 같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앱
장점
- 웹사이트에 간단한 작업을 더해 PWA로 만들 수 있다. 앱의 기능을 넣을 수 있다.
단점
- 아이폰의 경우 사파리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의 PWA 기능이 차단
'개인공부 > CS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개발환경 준비(M2) (0) | 2024.01.14 |
---|---|
클라우드 서비스(Iaas, Paas, Saas) (0) | 2022.12.07 |
쿠키 vs 세션 vs 토큰 vs 캐시 VS CDN (0) | 2022.11.28 |
소프트웨어 vs 프로그램 vs 애플리케이션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