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

IP에 대해서 알아보자

소소한필통 2025. 1. 18. 18:36

P(Internet Protocol)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하는 고유 주소

IP표기 방식은 일반적으로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가 있는, 점으로 분리된 10진수 형식으로 표시 ex) 192.192.192.192

실제로 사용할때는 위를 2진법으로 표현해서, 32비트 숫자가 됨. 즉 IP는 32bit로 이루어진 주소이며, 1bit가 2이니깐 2의 32승, 약 43억 개의 주소를 가지게 됨

IP 주소 구성

아이피는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로 구성되어 짐 ex) 192.168.20.10

네트워크 주소는192.168.20.10 중 192.168.20이 11000000.10101000.00010100가 되고

나머지 10은 00001010은 호스트 주소가 됨

IP 주소 클래스

CIDR 할당전에 사용한 예전 사용방식인 IP클래스를 IPv4를 먼저 알아보자

IP주소를 8비트로 4등분 하면, 각각을 옥탯이라 함

각 옥탯별로 0~255개의 범위가 되므로 각각 256개 들어갈수있음

A 클래스

  • A class의 경우 처음 8bit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24bit(3byte)가 Host ID로 사용됨
  • A 클래스의 첫번째 옥텟의 비트는 0으로 고정됨
  • 따라서 A class의 범위는 첫 옥텟이 1~126 사이의 숫자로 구성
  • A클래스는 호스트ID 대역이 24bit이므로, 네트워크 당 나올 수 있는 호스트 주소 갯수는 1670만개 이므로,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함

B 클래스

  • B class의 경우 처음 16bit (2byte)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16bit(2byte)가 Host ID로 사용됨
  • B클래스는 첫번째 옥텟의 두번째 비드가 10으로 고정됨
  • 네트워크 주소는 처음 16비트이며 호스트 주소는 나머지 16비트
  • 따라서 B class 범주는 첫 옥텟이 128 ~ 191 사이의 숫자로 시작됨
  • Host 대역이 16bit 이므로 네트워크 당 나올 수 있는 호스틑 수는 약 65000개 이므로 중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함

C클래스

  • C Class의 경우 처음 24bit(3byte)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8bit(1byte)가 Host ID로 사용됨
  • C클래스는 첫번째 옥텟의 세번째 비트가 110으로 고정
  • 네트워크 주소는 처음 24비트이며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비트
  • 따라서 C classd의 범위는 첫 옥텟이 192 ~ 233 사이의 숫자로 시작함

네트워크 주소 & 브로드 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 : 가장 첫번째 호스트 주소 (호스트의 값이 모두 0인 주소)

  • 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함, 그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

브로드캐스트용 주소 : 가장 마지막 주소 (호스트의 값이 모두 1인 주소)

  •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서의 주소

서브넷

네트워크 장치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Subnet) 개념 등장

  • 서브넷(Subnet)일는 것은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되어 나눠진 작은 네트워크
  • 서브넷을 만들기위해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네팅(Subnettin)이라고 함
  • 서브네팅을 하면 IP할당 범위를 더 작은 단위로 쪼갤수 있게 됨
  • 서브네팅을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통하여 계산되어 수행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분하기 위한 목적(보다 편하게 구분하기 위한 목적)
  •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똑같은 32비트 2진수로 표현

Prefix 표현

비트를 이용한 표현으로 더욱 간소화해서 표현

192.168.0.1/24라면 뒤에 /24가 서브넷 마스크를 표현한 것임

/24 라는 뜻은 32비트 중 앞에서 부터 차례대로 1의 개수가 24개라는 의미함

예시

  • 10.10.10.10/8 → A클래스
  • 172.16.1.10/16 → B클래스
  • 192.168.199.10/24 → C클래스

서브네팅 (Subnetting)

  • IP주소를 효율적으로 나누기 사용하기 위한 방법

서브네팅 계산법

  1. 주소범위 절반으로 나누기
  2. 100개 절도 사용하는 회사를 위해 가장 작은 C클래스 대역을 줄 예정인데 256개를 전부 주기에는 낭비가 있어 반으로 쪼개는 작업을 진행해보자 128개씩 나누기 위해서는 서브넷 구분 비트라는 것을 지정필요
  3. 네트워크 주소를 어느 기준으로 쪼개서 서브넷으 만들어 구분할지 정하는 비트
  4. 항상 호스트 ID에서 왼족부터 결정

슈퍼넷팅 (Supernetting)

  • 네트워크를 합치는 것
  • 서브넷 마스크를 이동하여 호스트 ID 갯수를 늘리는 방법

'개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0) 2025.01.18